반응형

 

보드게임 쪽도 모임이 많지만 체스 쪽도 모임이 적지 않게 있습니다. 아직은 보드게임 인구보다 체스 인구가 적어서 모임 수도 적기는 하고 수도권 쪽에 많이 모여있긴 하지만 그래도 알음알음 모임들이 있습니다. 보드게임도 그렇지만 체스도 사람이 귀해서 대부분의 모임에서 신입분들은 환영을 받는 편입니다. 다만 보드게임과 체스의 특성이 조금 달라서 모임의 분위기가 조금 다른데 그런 부분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글을 써볼까 싶네요.ㅎ

 

아무래도 보드게임은 특정 게임을 제외하고는 서로간의 대화나 소통을 강하게 유도하는 게임들이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서로가 서로를 부르게 되는 경우도 많고 1:1이 아닌 3~4명 또는 그 이상의 인원이 동시에 같은 게임을 플레이 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서로에 대한 소개라던가 이름 또는 닉네임 같은 부분을 알려주면서 게임을 하게 됩니다.

 

그게 비해 체스는 소통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게임 중에 직접적인 대화는 하지 않게 되고 게임 후에 게임에 대한 복기를 한다거나 하면서 대화를 하다보니 아무래도 좀 딱딱한 느낌을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서로 상대방의 이름을 모른다 해도 체스를 두거나 복기하는데 크게 불편함이 없다보니 서로 얼굴은 아는데 이름을 잘 모르는 경우도 생기기도 합니다.(저만 그런건 아니겠죠...)

 

그리고 체스를 잘 모르시는 분들은 모임 나가는걸 두려워하시는데 모임 나와서 체스를 배우시는 분들도 종종 보입니다. 그런걸 배우려고 모임에 나오시는거지 집에서 실력을 키워서 모임에 나오시지 않으셔도 됩니다.ㅎㅎ 내가 너무 못두니까 상대가 싫어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하실 수 있으시겠지만 그 상대분도 그런 시절이 있으셨을거라 다 이해해주십니다.

 

모임의 성향, 또는 모임장님의 성향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는데 모임에서 모임원끼리 두는걸 어느정도 조율해 주는 모임이 있고 자유롭게 방치?하는 모임도 있습니다. 모임에 처음 나가신다거나 체스를 처음 배우시는 상황이시라면 모임에서 어느정도 조율해 주시는 모임에 나가시는게 편하십니다. 대충 실력이 비슷한 분들과 게임을 할 수 있게 조정해주신다거나 간단하게 알려드리면서 게임을 진행하거나 하기도 하니까요. 자유로운 분위기의 모임에 처음 나가시게 되면 상대편에서 다가와서 먼저 게임을 청하지 않는 경우 어찌해야할지 모르다가 제대로 즐기지 못하고 돌아가실 수도 있으시니까요. 먼저 들이대시면 다들 잘 받아주기는 하십니다만... 제 캐릭터는 그렇지 못해서...ㅎㅎ

 

체스 모임의 구성은 어린 학생들부터 나이가 제법 있으신 분들까지 남녀노소 다 있기 때문에 편하게 모임에 참가하셔도 됩니다. 모임에 따라 구성이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대학생 모임처럼 구성원의 제약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임에서 나이나 성별을 가지고 제한을 두지는 않습니다.

 

체스를 좋아하시고 즐겁게 할 준비가 되신 분들은 가까운 곳에 모임이 있는지 알아보시고 있다면 참가해보시는걸 적극 권해드립니다. 다들 즐거운 체스 되시기를...^^

 

반응형

'Hobby > Ch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2월 4일 MSO 체스대회 참가(?) 후기  (0) 2022.12.07
체스 대회 이야기  (0) 2022.11.28
체스 VS(?) 보드게임  (0) 2022.11.15
레이팅이 뭔가요? 레이팅 따는 방법은?  (0) 2022.11.07
레이팅 있으세요?  (0) 2022.10.27
반응형

 

엄밀히 이야기 한다면 체스도 보드게임에 속한다고 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체스나 바둑, 장기, 오목과 같은 게임들은 고유명사처럼 사용되서 보드게임과 구별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어떤 부분이 다르다고 할 수 있는지 장단점(?)은 무엇인지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우선 보드게임은 2022년 11월 현재 보드게임긱이라는 세계 최대의 보드게임 사이트에(https://boardgamegeek.com/) 약 140,000개가 등록되어있습니다. 확장도 포함된 숫자이니 여유잡고 1/3만 본판이라고 해도 약 4만5천여개가 넘는다는 이야기죠. 물론 그 안에 체스, 바둑, 장기(라기보단 샹치)도 등록되어 있습니다. 여하튼 많습니다.

수 많은 보드게임들이 있는데 의외로? 2인 전용 보드게임들의 인기가 좋은 편은 아닙니다. 2인 전용 게임은 거의 대부분 승부를 가리는 게임이다 보니 이기고 지는게 명확히 보이게 됩니다. 거기다 체스나 바둑 같은 테마도 없고 모든 정보가 숨겨지지 않은 게임을 추상전략 게임이라고 부르는데 이런 게임의 경우는 운적인 요소가 적거나 없어서 실력차가 곧 승패에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서 더욱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여집니다.

보드게임은 운적인 요소, 주사위라던가 카드의 뽑기운이라던가.. 아니면 3명 이상이 플레이 해서 게임 외적인 부분에서 견제를 하거나 하는 실력만으로 승부가 갈리게 하지 않는 그런 요소들이 들어가게 되고 그래서 져도 기분이 좀 덜 상하는 그런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사위가 잘 안나와서 졌어 라던가 아 그 카드만 들어왔어도! 라던가 말이죠. 사람끼리 견제되는 부분은... 극단적으론 난 저사람이 1등하는건 못보겠어!! 하면서 내가 꼴찌가 되더라도 그 상대의 1등을 막는다거나 하는 그런 경우도 생겨나죠.ㅎ

 

하지만 체스나 바둑 같은건 그런 요소가 전혀 없다보니 오로지 실력승부가 되게 되고 그러다 보면 내가 지면 상대보다 못해서 진거 말고는 다른 요인이 없게 됩니다. 물론 단판 승부만으론 그 차이가 확실한건 아니고 여러번 하다보면 통계적으로 승률이 나오는데 그게 앞에서 이야기한 레이팅 시스템이 되는거죠.

 

그래서 둘중에 뭐가 좋다 나쁘다 보단 나한테 뭐가 맞느냐 안맞느냐가 선택의 조건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체스 같은 추상전략 게임의 장점은 연구?를 하면 실력이 좋아져서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부분이 보드게임보다 크다고 생각합니다. 보드게임의 경우도 그런 연구를 통해 게임의 이해도가 좋아져서 승률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지만 아무래도 운적인 요소가 있다보니 한계가 있는 게임도 있구요. 물론 그런 운적으로 안좋은 운을 실력으로 커버해서 이길 수 있는 게임도 있으니 추상전략 게임만 성취감이 크다 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구요.

 

보드게임의 경우는 말씀드렸다시피 게임이 아주 많습니다. 그중에 내맘에 드는 게임이 하나도 없지는 않을거라 내 취향에 맞는 게임을 찾아서 즐기면 됩니다. 가벼운 파티 게임이 좋으면 그쪽 위주로, 머리를 많이 쓰는 전략게임 위주고 좋으면 그쪽으로 즐기면 됩니다.

 

전략 게임을 좋아하신 다면 체스를 권해드리기도 하는데 체스가 머리를 쓰면서도 짧은 시간에 게임이 끝나기도 해서입니다. 체스를 조금 짧게 즐긴다면 1게임에 20분~30분 정도로 해도 충분히 수를 고민할 수 있는데 보드게임은 보통 1시간정도는 잡아야 그런 정도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체스의 장점이라고 볼 수도 있죠.

 

그래서 보드게임은 수많은 보드게임 중에 내가 좋아하는걸 여러 사람들과 즐기는거라고 한다면 체스는 다른 사람과의 소통도 있지만 내 자신의 성찰이 있다고 할까요.ㅎㅎㅎ

 

그래서 저는 보드게임은 바다에서 노는거라면 체스는 등산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바다에서는 해변에서 가볍게 놀아도 되고 멀리 나가서 낚시를 해도 되고 스노클링, 스킨스쿠버, 서핑 등등 여러가지의 방법으로 놀 수 있다면 등산은 우선 산을 오르는게 목적이죠. 그 산이 동네 뒷산일 수도 있고 에베레스트가 될 수도 있겠지만 산을 오른다는거 자체는 다르지 않으니까요.

 

결론은 그냥 둘중에 좋아하는걸 재미있게 즐기면 된다 입니다. 저의 경우만 봐도 두가지를 다 재미있게 하고 있으니 말이죠.ㅎ

반응형

'Hobby > Ch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스 대회 이야기  (0) 2022.11.28
체스 모임 이야기  (0) 2022.11.18
레이팅이 뭔가요? 레이팅 따는 방법은?  (0) 2022.11.07
레이팅 있으세요?  (0) 2022.10.27
사건?의 시작  (1) 2022.10.25
반응형

이전에 레이팅 관련된 에피소드를 올렸으니 레이팅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나 더 해보는게 나을 듯하네요.

 

체스는 바둑이나 장기와는 다르게 Elo 레이팅이라는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namu.wiki/w/Elo%20%EB%A0%88%EC%9D%B4%ED%8C%85 를 참고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저도 자세한 내용은 모르고 그냥 대충 요렇게 운용된다 정도만 알고 있는 수준입니다.

 

여하튼 레이팅이라는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이 레이팅이라는게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라서 각 단체, 사이트 별로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시스템 자체가 절대적인 선수의 실력을 표현한다기 보단 상대적인 승률?을 판단하기 쉽게 보여주는 시스템이다보니(제가 이해한 바로는...ㅎㅎ) 레이팅이 얼마인지를 물어보게 되면 어디 단체, 사이트의 레이팅인지 확인해야합니다.

 

그래서 현재 체스계의 양대 사이트인 chess.com과 lichess.org가 있는데 이 두 사이트의 레이팅이 조금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잘하시는 분들의 경우는 차이가 줄어들지만 입문, 초보 수준일 경우 chess.com의 레이팅이 조금 더 낮게 나오는게 보통이라고 이야기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의 경우 한국의 경우는 fide 즉, 국제체스연맹의 레이팅을 사용하는데 미국의 경우는 uscf 즉, 미국체스연맹의 레이팅을 따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외국의 대회를 나갈 때는 fide의 대회인지 자국의 레이팅 대회인지 확인을 해야한다고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fide의 레이팅을 사용을 하는데 fide의 레이팅은 스탠다드, 래피드, 블리츠 3분야로 나뉘는데 스탠다드는 게임시 각자에게 주어지는 시간이 60분 이상, 래피드는 10분이상~60분 미만, 블리츠는 10분 미만으로 나뉘어지는데 아무래도 체스의 기본?은 스탠다드라서 스탠다드 레이팅이 제일 공신력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fide의 스탠다드 레이팅을 획득하는 방법은

먼저 fide id를 만들고(이건 대한체스연맹으로 연락을 하면 누구나 만들 수 있습니다. 등록비는 현재 1만원으로 알고 있습니다.)

1. fide에 보고되는 스탠다드 대회에 나간다.

국내에도 fide에 보고되는 스탠다드 대회가 제법 자주 열리고 있습니다. 우선 아이체스와 플레이웰이라는 곳에서 종종 대회를 진행해주니 관심 있으시면 각 사이트에서 공지를 보시면 됩니다.

2. 레이팅이 있는 사람과 5게임을 해서 0.5점 이상을 따서 1000점 이상의 레이팅이 나오면 레이팅이 나옵니다.

다만 한 대회에서 레이팅 있는 사람도 있고 아닌 사람도 있으니 한번의 대회에서 꼭 레이팅을 딴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그래서 한 대회에서 레이팅 있는 사람하고 2게임을 했다면 5게임은 못채웠지만 승점이 있다면 그 기록은 남아서 다음 대회에서 추가로 3게임을 하고 승점을 얻은걸로 시작레이팅을 계산하게 됩니다. 그리고 첫 대회에서 승점을 하나도 따지 못했다면 그 기록은 없어지기 때문에 첫 대회에서 2게임 2패, 다음 대회에서 3게임 3승 했다면 3게임만 한걸로 기록이 되게 됩니다. 다음 대회에서 2게임을 더 채우면 레이팅이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겠죠. 가능성이 높다고 이야기 드리는 이유는 레이팅을 계산해서 1000점이 넘지 못하면 레이팅이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레이팅을 받았는데 1000점 밑으로 떨어지면 레이팅이 사라지게 되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주저리주저리 좀 재미없는? 레이팅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ㅎㅎ

반응형

'Hobby > Ch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스 대회 이야기  (0) 2022.11.28
체스 모임 이야기  (0) 2022.11.18
체스 VS(?) 보드게임  (0) 2022.11.15
레이팅 있으세요?  (0) 2022.10.27
사건?의 시작  (1) 2022.10.25
반응형

 

요즘에는 저 질문에 대해 이해가 높아져서 듣기도 하고 저 질문을 사용하기도 합니다만....

 

2019년 8월쯤이였을까요... MJ가 파워체스에서 체스를 배우고 있었는데 당시 파워체스는 가산디지털쪽에 본사가 있었어서 토요일 오후에 체스 모임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본사가 파주 쪽에 있는걸로 아는데.. 아쉽습니다. ㅎㅎ

 

여하튼 어쩌다 보니 토요일에 MJ 체스 수업을 마치고 체스 모임이 본사에서 진행된다고 해서 점심을 먹고 이동을 했습니다. 당시 이게오르기 선생님께서 토요모임에 자주 나오셨었는데 그당시 저는 체스 쪽을 전~혀 모르던 때가 그냥 좀 잘 두시는 어르신인가보다...라고만 생각하고 MJ나 제가 게임을 신청해볼 생각을 하지도 못했습니다. 정말 아쉽네요.ㅎㅎ

 

몇번 토요모임에 나갔었는데 아마 다음날이 케이리그가 열리는 날이었던듯 한 날에 한 남자분께서 저를 보시더니 레이팅 있으세요? 라는 질문을 던지셨습니다. 당시 저는 체스를 공부한지 5~6개월 정도 밖에 안되는 수준이었고 온라인 체스도 전혀 두지 않고 있던 상황이라 이게 무슨 질문인지 자체를 이해를 못했습니다. 요즘에야 저런 질문을 하는 의도와 목적을 알고 있지만 당시에는 조금 당황스러웠던 기억이 있네요. 그 질문을 하셨던 분을 MJ가 출전했던 유소년 선발전에서 심판으로 뵈었는데 그 뒤로는 못뵌 듯 한데.. 잘 지내고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레이팅 있으세요? (온라인, 오프라인) 레이팅 어느정도신가요? 라는 질문은 체스에 막 입문하신 분들이라면 조금 당황스러울 수 있는 질문인들 한데 오프라인 모임에서라면 비슷한 수준의 상대와 매칭을 시켜드리거나 서로 배우거나 가르쳐드리기 좋은 수준의 매칭을 하기 위해 흔히 하는 질문입니다. 다만 당시의 저는 수준이 그 질문에 대한 해석도 못할 정도로 체스에 대한 지식이 없는 수준이었던거죠.ㅎㅎ 만약 모임을 나가서 레이팅이 어느정도 되시나요? 라는 질문을 받으시면 그냥 편하게 잘 모르면 모른다. 온라인 사이트에서 어느정도 된다. 그런식으로 답변을 주시면 더 오래, 잘 하시는 분들께서 알아서 판단하시고 조언을 주시거나 배려해 주실겁니다.

 

반응형

'Hobby > Ch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스 대회 이야기  (0) 2022.11.28
체스 모임 이야기  (0) 2022.11.18
체스 VS(?) 보드게임  (0) 2022.11.15
레이팅이 뭔가요? 레이팅 따는 방법은?  (0) 2022.11.07
사건?의 시작  (1) 2022.10.25

+ Recent posts